삼각함수
직각 삼각형은 밑변, 빗변, 높이 세 가지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. 이러한 직각 삼각형의 세 개의 변에서 두 개의 변을 골라 비의 값을 정한다고 하면 빗변/높이, 빗변/밑변 등 여러개의 비를 구할 수 있다. 이 중 주로 사용하는 세 가지의 삼각비는 다음과 같다. 이 삼각비를 함수의 개념으로 확장해서 해당 비의 각을 정의역으로 두고 비의 값을 취했을 때 이 값은 항상 [-1, 1] 사이에 대응된다. 정의역의 원소 x 와 공역의 원소 y 에 대한 대응 관계를 y = sin(x) 같은 함수로 나타낼 수 있게 된다. 데카르트 평면의 좌표계에서 만들어지는 평면의 모든 각(360도)을 일반화 시킨 것을 삼각함수라고 한다. 삼각함수를 사용할 때는 직각삼각형에 국한되어서 사용하기 보다는, 평면을 모두 포함하는 단위원을 ..